EAI 적용전(point-to-point 방식) VS EAI 적용후(EAI Hub방식)
point-to-point 방식은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에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할 때 방대한 비용 및 시간 손실이 뒤따르며, 애플리케이션 수의 실질적인 한계와 복잡성으로 인한 유지보수의 어려움 등이 발생한다.
EAI는 중계시스템의 한 종류이다.
통합 구현 구성은 일반적으로 송신시스템과 모듈, 중계시스템, 수신시스템과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연계 데이터 표현 방식
1> 태그 : 유의미한 태그 그룹을 정의후 상호 연계
2> 분리자 : 콤마, 콜론, 세미콜론 등 정의한 분리자를 사용한 CSV, TEXT 파일형식
3> JSON : KEY, VALUE 쌍의 구조로 객체, 변수 형식을 표현, 텍스트 기반 데이터 교환 표준
로그 기록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결과를 로그 테이블에 기록 및 관리한다.
연계 데이터가 기준대로 추출 및 식별되어 정상적으로 송수신되고, 운영 DB에 반영되었는지 확인
패킷 : 데이터(정보)를 일정 크기로 자른 것으로 네트워크 계층(Layer 3)에서 정의되는 데이터 단위
※가상사설망(VPN) : 공중 네트워크를 통해 한 회사나 몇몇 단체가 통신 내용을 외부에 드러내지 않고 통신할 목적으로 쓰는 사설 통신망
1> SSL VPN : 장소나 단말의 종류와 상관없이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SSL 기반의 가상 사설망
2> SSL :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 통신에서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도중에 해킹을 통해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정보의 내용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보안 솔루션
3> IPSec VPN : IP계층에서 안전한 전송,통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3계층 터널링 프로토콜로 IP계층 내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상위 계층과의 호환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구축이 용이하며, 생성된 터널로 인가된 내부대역 또는 호스트만 통신을 할 수 있고 암호화된 패킷의 송/수신이 특징임.
웹 서비스 방식 : 웹서비스란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있는 정보를 서비스 형태로 개방하여 표준화된 방식으로 공유하는 기술로서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개념을 실현하는 대표적인 기술이다.
SOAP : HTTP,HTTPS,SMTP 등을 사용하여 XML기반의 메세지를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프로토콜이다.
요즘은 SOAP의 복잡하고 무거운 구조로 인해 RESTFUL프로토콜을 이용하기도 한다.
UDDI : 웹 서비스에 대한 정보인 WSDL을 등록하고, 검색하기 위한 저장소로 공개적으로 검색이 가능한 레지스트리이다.
WSDL : 웹 서비스명, 웹 서비스 제공 위치, 웹 서비스 메세지 포맷, 프로토콜 정보 등 웹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기술한 파일로 XML 형식으로 구현한다.( 서비스 명세라고 보면 될 것 같다)
연계 테스트 : 구축된 연계 시스템과 연계 시스템의 구성 요소(송신 모듈, 수신 모듈, 연계 서버 및 엔진, 모니터링 현황 등)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고 검증하는 활동
'정보처리기사 실기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처기] PART 05 : 화면설계 정리노트 (0) | 2021.04.15 |
---|---|
[정처기] PART 04 : 서버 프로그램 구현 정리노트 (0) | 2021.04.15 |
[정처기] PART 02 : 데이터 입출력 구현 정리노트 (0) | 2021.04.14 |
[정처기] PART 01 : 요구사항 확인 정리노트 (0) | 2021.04.13 |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시작!!! (0) | 2021.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