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처기 요약5

[정처기] PART 07 : SQL 응용 정리노트 구분 설명 명령어 데이터질의어(DQ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사용하는 정의어 SELECT 데이터조작어(DM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정, 삭제, 추가하는 명령어 INSERT, UPDATE, DELETE 데이터정의어(DDL)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하고 수정, 삭제 추가하는 명령어 CREATE, ALTER, DROP 데이터제어어(DCL) 데이터베이스의 규정이나 기법을 정의하고 제어하는 언어 GRANT, REVOKE, COMMIT, ROLLBACK 1. 데이터 검색하기 SELECT * FROM employee; SELECT empname,dno FROM employee; SELECT DISTINCT empname,dno FROM employee; SELECT empname,dn.. 2021. 4. 17.
[정처기] PART 05 : 화면설계 정리노트 화면설계 : 사용하기 편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의 상호 정보 교환의 방법을 체계회하여 설계하고 디자인하는 작업. 화면설계의 방향 1> 사용자 중심 : 사용자 입장에서 생각하고 사용자 입장에서 설계해야 하며, 사용자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2> 단순한 설계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때 핵심은 단순함. 3> 현명한 색상 사용 4> 일관성 유지 : 안정감을 느끼게 해주기 위해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5> 사용자 경험 지식화 : 사용자가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경험한 것을 지식화하여, 사용자들이 키보드 단축키를 사용하게 하고, 상대적으로 복잡한 부분의 인터페이스를 단순하게 만들어야 함. 6> 지속적인 테스트 및 반복 : 지속적인 수정과 개선을 통하여 사용자들의 반응.. 2021. 4. 15.
[정처기] PART 03 : 통합 구현 정리노트 EAI 적용전(point-to-point 방식) VS EAI 적용후(EAI Hub방식) point-to-point 방식은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에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할 때 방대한 비용 및 시간 손실이 뒤따르며, 애플리케이션 수의 실질적인 한계와 복잡성으로 인한 유지보수의 어려움 등이 발생한다. EAI는 중계시스템의 한 종류이다. 통합 구현 구성은 일반적으로 송신시스템과 모듈, 중계시스템, 수신시스템과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연계 데이터 표현 방식 1> 태그 : 유의미한 태그 그룹을 정의후 상호 연계 2> 분리자 : 콤마, 콜론, 세미콜론 등 정의한 분리자를 사용한 CSV, TEXT 파일형식 3> JSON : KEY, VALUE 쌍의 구조로 객체, 변수 형식을 표현, 텍스트 기반 데이터 교환 표준 로그.. 2021. 4. 14.
[정처기] PART 02 : 데이터 입출력 구현 정리노트 정규화 : 데이터베이스 이상현상의 원인이 되는 데이터 중복성을 제거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존하는 기법 ※정규화의 원칙※ ① 무손실 분해 : 같은 의미의 정보를 유지하면서 더 바람직한 구조를 만듦 ② 자료의 중복성 제거 : 중복되는 정보는 삭제 혹은 통합 ③ 분리의 원칙 : 독립적인 관계는 별개의 릴레이션으로 표현하고, 릴레이션 각각에 대해 독립적 조작이 가능 제 1정규형(1NF) 릴레이션 R의 모둔 속성 값이 원자값을 가지는 릴레이션을 말함. 제 2정규형(2NF) 릴레이션 R이 제1정규형이고 기본키가 아닌 속성이 기본키에 완전 함수 종속성 일 때 제2정규형이라고 한다 완전 함수 종속 : A와 B가 릴레이션 R의 속성이고 A→B 종속성이 성립할 떄, B가 A의 속성 전체에 함수 종속하고 부분 집합 속성에.. 2021. 4.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