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
컴퓨터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미들웨어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에게 추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인터럽트
최신 운영체에서 비동기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장치 컨트롤러 및 하드웨어 오류로 인해 인터럽트가 발생한다. 그래서 최신 컴퓨터는 인터럽트 우선순위 시스템을 사용한다.
메인메모리는 모든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는 너무 작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내용을 잃어버리는 휘발성 저장장치이다. 그렇기에 보조저장장치로 메모리 확장할 수 있다. 하지만 보조저장장치는 속도가 느리다.(즉 작고 빠를수록 CPU에 가깝다.)
단일 처리기 시스템는 단일 처리 코어(CPU의 기본 계산 단위)를 가진 범용 CPU(명령을 실행하는 하드웨어)가 하나만 있는 경우이다. 이 정의로만 따진다면 현대 컴퓨터 시스템은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이 거의 없다.
다중 처리기 시스템은 단일 코어 CPU가 있는 두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있다. (SMP구조) 각 CPU에는 개별 또는 로컬 캐시뿐 아니라 자체 레지스터 세트가 있다. 그래서 동시에 많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HADOOP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클러스터형 시스템에서 대용량 데이터 세트의 분산처리에 사용되는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다중 프로그래밍은 CPU가 항상 한개는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CPU이용률을 높이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인다. 이때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한다.
다중 태스킹은 다중 프로그래밍의 논리적 확장. 여러 프로세스를 전환하며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고 전환이 자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빠른 응답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공중 클라우드 : 지불 가능한 사람은 누구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가능한 클라우드
사유 클라우드 : 한 회사가 사용하기 위해 운영하는 클라우드
혼합형 클라우드 : 공공과 사유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클라우드
Saas : 소프트웨어 서비스, 인터넷을 통해 사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응용
Paas : 플랫폼 서비스, 인터넷을 통해 사용하도록 응용에 맞게 준비된 소프트웨어 스택
Iaas : 인프라 서비스, 인터넷을 통해 사용가능한 서버나 저장장치
댓글